가치를 찾아서

세상의 가치있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728x90

컴퓨터 지식 12

SSD 알아보기!! / sata, NVMe, mSATA, U.2 SSD 등 / 노트북 저장공간 업그레이드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양한 SSD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SD(Solid State Drive)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는 다른 형태의 저장 장치로, 더 빠른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SSD는 플래시 메모리 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사용합니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SSD와 각각의 규격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SATA SSD SATA SSD는 Serial ATA(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입니다. SATA 3.0 인터페이스는 6Gb/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SATA 2.0은 3Gb/s를 지원합니다. SATA SSD는 일반적으로 ..

컴퓨터 지식 2023.05.21

컴퓨터 모니터 안나옴, 안켜짐 해결방법 / 초간단! 해결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컴퓨터 모니터가 갑자기 안나올 때 대처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니터 안나올때 이유전원 연결 확인: 모니터와 전원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전원 상태 확인: 전원 버튼을 눌러 모니터 전원이 켜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모니터 LED 표시등이 켜지지 않으면 전원 케이블이나 전원 소켓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일 수 있습니다. 연결 케이블 확인: 모니터와 컴퓨터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VGA, HDMI, DVI, DisplayPort 등의 연결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모니터 설정 확인: 모니터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밝기, 컨트라스트, 색상 등의 설정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래픽 카드 확인: 모니터와 ..

컴퓨터 지식 2023.03.15

윈도우 폴더 잠금, 비밀번호 설정하기!! 써드파티 프로그램, 숨기기 / 폴더 잠금 방법 확인하기 간단!!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폴더 잠금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에서 폴더를 잠그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Windows 내장 기능을 이용한 폴더 잠금 원하는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속성"을 선택합니다. "일반" 탭에서 "특성" 에 위치한 "숨김(H)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폴더, 하위 폴더 및 파일에 변경 사항 적용 을 체크해준 뒤 확인을 누르면 폴더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숨김을 설정할 경우 폴더 보기 - 표시/숨기기 - 숨긴 항목 체크 시 위와 같이 반투명하게 폴더가 보여지게 됩니다. 이제 아예 비밀번호를 통하여 폴더를 잠금하고 싶을때에는 윈도우 기본 기능으로는 설정이 불가능하고 ..

컴퓨터 지식 2023.03.09

윈도우 계정 삭제 및 다른 사용자 파일 이동 방법 확인하기!!! /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10 환경에서 계정 간 데이터, 파일들을 이동하는 방법과 계정 추가, 삭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10으로 넘어오게 되면서 한 PC 에서 여러개의 사용자를 만들어 개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되면서 편리한 점도 있지만 불편한 점들도 생기고 사용자를 추가, 제거 할 때 마다 계정 안 저장 내용들은 어떻게 이동하는지도 모르고 계정삭제하면서 다 삭제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습니다. 근데 알아보니 정말로 너무 간단하게 파일 이동이 가능하더라구요?!? 그래서 방법을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윈도우 사용자 간 파일 이동, 공유 방법 우선 윈도우 화면 아래나 바탕화면을 보면 위와 같이 폴더 창을 열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이 폴더를 눌러서 접속해줍니다...

컴퓨터 지식 2023.03.04

윈도우 memory.dmp 파일 알아보기! memory.dmp 삭제 해도 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memory.dmp 파일과 파일 삭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emory.dmp 파일?? "memory.dmp" 파일은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크래시, 블루 스크린 등의 문제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이 실행 중에 메모리에 로드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으며, 시스템이 크래시되기 직전의 상태를 기록합니다. 이 파일은 크기가 매우 크며, 일반적으로 1GB 이상의 용량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분석하려면 매우 강력한 컴퓨터와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파일은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주로 윈도우 디버깅 도구인 "WinDbg"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됩니다. 분석을 통..

컴퓨터 지식 2023.03.01

맥북 사용 꿀팁 알아보기!! / spotlight, 창 분할 기능, 키보드 단축키 지정, 트랙패드 팁, siri 사용, finder, 다중 데스크탑, 문서변환 등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맥북 구매 기념으로 맥북 사용 꿀팁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사용 꿀팁!! Spotlight 기능 사용하기: "Command + Spacebar" 단축키를 누르면 Spotlight 검색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문서, 설정 등 다양한 항목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파일 빠르게 복사하기: 파일을 복사할 때 "Command + C"로 복사한 후, 붙여넣기 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Command + Option + V"를 누르면, 복사한 파일이 그 위치에 즉시 복사됩니다. 창 분할 기능 사용하기: 창을 분할해서 사용할 때 "Mission Control"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Control + Up Arrow"를 누르면 모든 창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여기..

컴퓨터 지식 2023.02.28

Mac OS 스크린샷, 창 캡처, 녹화 방법 알아보기!! / 맥북 사용법 꿀팁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 OS 에서 화면 스크린샷, 창 캡처, 녹화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 스크린샷, 창 캡처 / 맥북 캡처 방법 Mac에서 화면 스크린샷을 찍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화면 촬영: "Command + Shift + 3" 단축키를 누르면 전체 화면을 캡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캡처한 이미지는 바탕화면에 "Screen Shot"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됩니다. 선택 영역 촬영: "Command + Shift + 4" 단축키를 누르면 마우스 포인터가 십자선 모양으로 바뀌며,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하여 캡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캡처한 이미지는 마찬가지로 바탕화면에 "Screen Shot"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됩니다. 특정 창 촬영: "Command + Shift ..

컴퓨터 지식 2023.02.27

윈도우 컴퓨터 스크린샷, 창 캡처, 화면 녹화 방법 알아보기!! / 스크린샷 단축키 활용도 UP!! Xbox Game bar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컴퓨터에서 화면 캡쳐, 스크린샷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스크린샷 방법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스크린샷을 찍기 위한 기본적인 단축키는 "Windows 로고 + PrtScn" 입니다. 이 단축키는 현재 화면을 모두 캡처하여 "내 문서" 폴더 내의 "스크린샷" 폴더에 저장합니다. 만약 "스크린샷" 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이 방법은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스크린샷을 찍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윈도우 부분 스크린샷 방법 그러나 전체 화면을 캡처하는 것이 아닌, 원하는 부분만 캡처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단축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Windows 10 이상에서는 "Windows 로고 + Shift + S"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단축키를..

컴퓨터 지식 2023.02.27

윈도우 10 화면보호기 설정하기!! 화면보호기 끄기, 해제 포함!! / 쉬움, 간단!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에서 화면보호기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기능들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저도 찾는데에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여러분들은 바로 한번에 찾으시라고 이렇게 포스팅해보게 되었습니다. 윈도우 화면보호기 설정하기 우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개인설정(R) 에 들어가줍니다. 이후 잠금 화면 ->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화면 보호기 설정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화면 보호기 설정 탭이 뜨게됩니다. 여기서 화면 보호기(S) 없음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클릭해주면 다양한 화면보호기를 선택하실 수 있게됩니다. 화면보호기를 없애시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여기서 (없음) 을 선택해주시면 되겠죠?? 추가로 화면보호기 종류를 선택해주면 위에 화면에서 미리보기..

컴퓨터 지식 2023.02.20

내 컴퓨터 비트 확인 하는 방법 알아보기!! / 쉬움! 간단한 방법 1분컷 가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 컴퓨터의 bit 비트 사양이 어떻게되는지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게임이나 어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실때에 컴퓨터 사양이 32bit 이냐 64bit 이나 확인을 미리 해보시는게 중요하니 아래 내용들로 간단하게 내 컴퓨터 bit 사양 확인 후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시길 바랍니다!! 내 컴퓨터 bit 확인하기! 방법 1 윈도우에서 bit를 확인하는 첫번째 방법으로는 내컴퓨터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탕화면이나 내파일에서 내 PC 선택, 마우스 우클릭에 속성(R) 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속성탭에서 바로 몇 비트 운영 체제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컴퓨터 bit 비트 확인하기 방법 2 다음 방법으로는 direct X 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 지식 2023.02.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