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를 찾아서

세상의 가치있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투자 자료

나는 평균일까?? 2024년 대한민국의 가구별 경제 상황을 알아보자!

인생의 가치를 찾아서 / find value! 2025. 2. 5. 20:41
728x90

2024년 가계 금융 복지조사 결과 정리본! / 출처 - 통계청

 

대한민국 가계의 자산 및 소득 분석

오늘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가계의 자산 및 소득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통계청은 매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해당 자료를 통해 가계의 재무 상태 및 복지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계금융복지조사란 무엇일까?

가계금융복지조사는 통계청이 매년 실시하는 국가 통계 조사로, 가계의 소득, 소비, 자산 및 부채와 같은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이 조사는 국민의 경제적 생활 수준과 불평등 구조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사 목적

  1. 가계의 경제적 상태 파악: 가계의 소득, 소비, 자산, 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경제적 상태를 평가합니다.
  2. 소득 분배 및 불평등 연구: 소득 분포 및 경제적 격차를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합니다.
  3. 정책 효과 평가: 복지 정책, 세제 개편, 소득 보전 정책 등의 효과를 평가하여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조사 내용

  1. 소득: 근로 소득, 사업 소득, 재산 소득, 이전 소득 등 가계의 총소득과 그 구성을 조사합니다.
  2. 소비 지출: 주거비, 식료품비, 교육비 등 가계의 소비 항목별 지출 내역을 분석합니다.
  3. 자산과 부채: 금융 자산(예금, 주식 등)과 비금융 자산(부동산 등), 그리고 대출이나 기타 부채 상태를 조사합니다.
  4. 복지 지표: 가구의 생활 만족도 및 복지 서비스 이용 실태 등을 평가합니다.

 

 

 

순자산 보유액 구간별 분포

2024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순자산(총 자산 - 부채)은 평균 4.49억 원으로 전년도 4.35억 원 대비 3.1% 증가하였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59세까지는 순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이후 은퇴, 자녀 증여 및 양도 등의 영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전체 가구 중 56.9%가 3억 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10억 원 이상의 순자산을 가진 가구는 10.9%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대한민국 가계의 경제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 수립 및 사회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총 자산 및 유형별 자산 보유액

다음으로 2024년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 자산은 약 5.4억 원으로, 2023년 약 5.3억 원 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금융 자산은 전년 대비 6.3% 증가한 반면, 부동산을 포함한 실물 자산은 1.3%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침체 상태에 있어 실물 자산의 증가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부채 현황

가구의 평균 부채는 9,128만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담보대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신용대출 감소가 이를 상쇄하면서 전체 부채 규모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채 중 금융부채, 특히 담보대출의 비중이 높았으며, 이는 주택담보대출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전·월세 입주 시 필요한 임대 보증금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결국, 가계 부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동산 관련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 소득은 7,185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중 근로 소득이 4,637만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근로 소득 외에도 사업 소득이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 외 재산 소득과 이전 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대한민국 가계의 경제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 수립 및 사회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728x90